나혜석

위키인용집 - 인용 모음집.
1920년대 초 나혜석

나혜석(羅蕙錫, 1896년 4월 18일 - 1948년 12월 1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일제 강점기와 한국의 화가이자 작가,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여자 미술학교에서 서양화를 공부한 뒤 1918년 귀국하여 화가, 작가로 활동하였으며 여성운동가, 사회운동가로도 활동하였다.

외교관으로 활동하던 남편 김우영을 따라 만주와 프랑스 등에 체류하던 중 프랑스에서 외교관 최린과의 염문으로 이혼하였다. 언론, 작품활동 외에 소설가와 시인, 교육자로도 활약했으며, 한국의 초기 여성 서양화가의 한사람으로 유명하였다. 처음 이름은 아지(兒只), 자는 명순(明順), 호는 정월(晶月)이다.

어록[편집]

  • 정조는 도덕도 법률도 진리도 아니고 오직 취미일 뿐이다.
  • 현모양처는 이상을 정할 것도, 반드시 가져야 할 바도 아니다. 여자를 노예로 만들기 위하여 부덕을 장려한 것이다.[1]
  • 일생을 두고 지금과 같이 나를 사랑해 주시오. 그림 그리는 것을 방해하지 마시오. 시어머니와 전실 딸과는 별거케 하여 주시오.
  • 여자도 사람이다. 여자라는 것보다 먼저 사람이다. 또 조선 사회의 여자보다 먼저 우주 안, 전 인류의 여성이다.[2]
  • 내 몸이 제일 소중하다.[3]
  • “여자도 사람답게 살아야 한다.[4]
  • '여성도 인간이외다[5]'
  • "조선여자도 사람될 욕심을 가져야겠소.[6]"
  • “남자들은 왜 여자한테만 정조를 요구하고 자신들은 정조를 지키지 않는가.[4]
  • …과연 내 생활 중에서 그림을 제해 놓으면 실로 살풍경이다. 사랑에 목마를 때 정을 느낄 수도 있고, 친구가 그리울 때 말벗도 되고, 귀찮을 때 즐거움도 되고, 괴로울 때 위안이 되는 것은 오직 이 그림이다. 내가 그림이요 그림이 내가 되어 그림과 나를 따로따로 생각할 수 없는 경우에 있는 것이다.
1926.05.20. 조선일보
  • 기교만 조금씩 진보할 뿐 정신적 진보가 없어 나 자신을 미워할 만큼 괴롭다.[7]
  • "여자도 인간이다. 남자는 정조를 지키지 않으면서 여자에게만 정조를 요구할 권리는 없다.[8]"
  • 한국 남자들은 자기 아내와 어머니, 누이, 딸은 깨끗하고 한 남자만을 바라보기를 바라면서, 남의 여자에게는 욕정을 품고 음란함을 강요한다.
  • 정조는 취미에 불과하다[9]
  • 내가 순결하지 못하면 남이 순결하지 못하고, 정조를 잃은 것도 충분히 존중해야 되는게 당연한 것 아닌가?
  • '돈 업스면 이태리니 불란서니 어대어대를 다 엇더케 다녀 왓스랴[10]'
  • 양부현부(良夫賢父)의 교육법이 없는 양처현모(良妻賢母)의 교육법은 여자에 한하여 부속물(附屬物)된 교육주의이다.[11]
  • "변치 않는 사랑을 줄 것, 그림 그리는 것을 방해하지 말 것, 시어머니와는 함께 살지 않을 것![2]"
  • 사람이면 다 존귀하다[12]
  • “자기를 잊지 않고서야만 남을 진심으로 사랑할 것이요, 자기를 잊지 않고서야만 여자의 자유평등이 있을 것이요.[13]
  • 인간에게는 영과 육이 있다. 사랑이란 영과 육이 합일될 때 비로소 진정한 사랑을 하게 되는 것이다.
  • 내가 여자요, 여자가 무엇인지 알아야겠다. 내가 조선 사람이오, 조선 사람이 어떻게 해야할 것을 알아야겠다.[11]
1917년 '학지광'에 게재한 '잡감'(雜感)-K언니에게
  • 자식은 모체의 살점을 떼어가는 악마다.
  • 모성은 본능이 아니라 경험이다.[14]
  • '정조는 단지 취미의 문제[15]'
  • '나는 당신을 사랑합니다. 그러나 그때문에 내 남편과 이혼하지는 않습니다.[16]'
  • '결혼한 후에 다른 남자나 여자와 좋와 지내면 부도덕적이라기보다 오히려 자기 남편과 더 잘 지낼수있게 하는 활력을 얻는다.[16]'
  • '나는 결코 내 남편을 속이고 다른 남자를 사랑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나이다. 오히려 남편에게 정이 두터워지리라 믿었사외다. 구미 일반 남녀 부부 사이에 이러한 공연한 비밀이 있는 것을 보고 또 있는 것이 당연한 일이오. 남편이나 본부인을 어떻게 하지 않는 범위 안의 행동은 죄도 아니요 실수도 아니라 가장 진보된 사람에게 마땅히 있어야만 할 감정이라 생각하오![17]'
  • 조선 남성 심사는 이상합니다. 자기는 정조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 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 합니다.[18]
  • '모성애는 후천적인 것이다.[15]'
  • "(임신이란) 그런 중에 뱃속에서는 어느덧 무엇이 움직거리기 시작하는 것을 깨달은 나는 몸이 오싹해지고 가슴에서 무엇인지 떨어지는 느낌이다.[19]"
  • 내가 정조 관념이 없으면 남의 정조 관념 없는 것을 이해해야 된다.
  • 세상의 모든 신용을 잃고 모든 공분 비난을 받으며 부모 친척의 버림을 받고 옛 좋은 친구를 잃은 나는 물론 불행하려니와 이것을 단행한 씨(김우영)에게도 비탄, 절망이 불소할 것입니다.[20]
  • "여성이라고 해서 임신하자마자 본능적으로 모성애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19]"
  • 모성애는 본능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학습되고 강요된 결과물이다. 자식을 사랑하지 않을 자유도 있다.
  • "현부양부(賢父良夫)의 교육법은 들어보지 못했으니, 현모양처란 여자를 노예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21]"
  • "지금 이 길을 걷는 나는 희생되겠지만 미래의 여인들에게는 이정표가 될 것이다."
  • (최린을).. 나도 퍽 흠선(欽羨)했다.[11]
1929년 ‘별건곤(別乾坤)’과 인터뷰에서
  • 나는 세상과 사회의 지탄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나의 길을 후회하지는 않는다.
  • "여자도 인간이다. 남자는 정조를 지키지 않으면서 여자에게만 정조를 요구할 권리는 없다.[22]"
  • "구미 만유기 일 년 팔 개월 간의 나의 생활은 이러하얏다. 단발을 하고 양복을 입고 빵이나 차를 먹고 침대에서 자고 스켓치 빡스를 들고 연구소를 다니고 책상에서 불란서 말 단자(單字)를 외우고 때로난 사랑의 꿈도 뀌여 보고 장차 그림 대가가 될 공상도 해보앗다. (중략) 실상 조선 여성으로서는 누리지 못할 경제상으로나 기분상 아모 장애되난 일이 하나도 업섯다.[23]"
  • 조선 남성 심사는 이상하외다. 자기는 정조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 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고 합니다. 서양이나 동경 사람쯤 되더라도 내가 정조관념이 없으면 남의 정조관념 없는 것을 이해하고 존경합니다. 남에게 정조를 유인(誘引)하는 이상 그 정조를 고수하도록 애호(愛好)해 주는 것도 보통 인정이 아닌가?[11]
  • 내 순결을 유린한 데 대한 위자료를 달라!
1931년 최린을 상대로 위자료 소송을 하면서
  • "사람으로 태어난 것을 후회한다.[24]"
  • "과연 내 생활 중에서 그림을 제해 놓으면 실로 살풍경이다. 사랑에 목마를 때 정을 느낄 수 있고(…) 괴로울 때 위안이 되는 것은 오직 그림이다.[2]"
  • "나는 결코 내 남편을 속이고 다른 남자를 사랑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나이다. 오히려 남편에게 정이 두터워지리라 믿었사외다. 구미 일반 남녀 부부 사이에 이러한 공연한 비밀이 있는 것을 보고 또 있는 것이 당연한 일이오. 남편이나 본부인을 어떻게 하지 않는 범위 안의 행동은 죄도 아니요 실수도 아니라 가장 진보된 사람에게 마땅히 있어야만 할 감정이라 생각하오.[17]"
  • "내 갈 길은 내가 찾아 얻어야 한다.[24]"
  • "나는 거짓말을 하면서 남에게만 착하고 진실되기를 바라는 것은 무어냐?"
  • "명절은 남자들에게는 공휴일이지만 여자들에게는 피로하고 고단한 날이다."
  • "정조는 도덕도 법률도 아니요, 오직 취미"
  • "나는 인형이었네. 아버지 딸인 인형으로, 남편의 아내 인형으로. ...(이하 중략)... 노라를 놓아라 순순히 놓아다고 높은 담벽을 헐고![4]"
  • "조선 남성들은 이중적인 정조 관념을 가졌다. 자기 아내와 어머니, 누이, 딸은 정조를 지키기를 바라면서 남의 여자의 정조는 빼앗아 즐기기를 원한다."
  • 과연 모든 여성은 모성을 지니고 태어나는가 아니면 학습되는 것인가. 모성이라는 이름아래 어머니는 수많은 희생을 감내한다. 그러나 이 '모성애'는 타고난 것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 학습되는 경향이 있다.
  • "오직 기생 세계에는 타인 교제의 충분한 경험으로 인물을 선택할 만한 판단의 힘이 있고 여러 사람 가운데 오직 한 사람을 좋아할 만한 기회가 있으므로… 조선여자로서 진정의 사랑을 할 줄 알고 줄 줄 아는 자는 기생계를 제외하고는 없다고 말할 수 있다.[25]"
  • "남성 심사는 이상하외다. 자기는 정조 관념이 없으면서 처에게나 일반 여성에게 정조를 요구하고 또 남의 정조를 빼앗으려고 합니다. 서양이나 도쿄 사람쯤만 되더라도 내가 정조 관념이 없으면 남의 정조 관념 없는 것을 이해하고 존경합니다.[26]"
  • 나의 사랑하는 4남매 아해들아! 에미를 원망치 말고 사회제도와 잘못된 도덕과 법률과 인습을 원망하거라. 네 에미는 과도기에 선각자로 그 운명의 줄에 희생된 자였더니라. 후일, 외교관이 되어 파리에 오거든 네 에미의 묘를 찾아 꽃 한송이 꽂아다오.
1935년, 에미는 선각자였느니라 중에서
  • 하루를 살더라도 참되고 진실한 삶을 살자.
  • 잠 없고는 살 수 없다. 이런 것을 탈취해가는 자식이 생겼다 하면 이에 더한 원수는 없을 것 같았다. 그러므로 나는 자식이란 모체의 살점을 떼어가는 악마라 정의한다.
어머니된 감상기 中
  • 사는 것은 몸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사는 것이야.
신생활에 들면서 중에서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위키백과
위키백과
위키백과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위키문헌
위키문헌
위키문헌에 이 사람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1. 나혜석은 어떻게 금기를 깼나 한겨레 2008.10.10
  2. 2.0 2.1 2.2 신여성 나혜석 결혼조건은 “그림 그리는 것 방해 말 것” 중앙일보 2008.03.07
  3. [야!한국사회] 연예가 결별 괴담, 남 일이다 한겨레 2007.10.29
  4. 4.0 4.1 4.2 불꽃의 여자 나혜석 조선일보 2000.11.01
  5. 첫 근대여성화가 나혜석 회고전 중앙일보 2002.02.25
  6. "절반의 몫을 찾자" 인습의 굴레 벗어 조선일보 1999.12.28
  7. 1921년 첫 여성서양화가 나혜석 데뷔展 동아일보 2005.03.18
  8. '불꽃의 여자 나혜석' 산울림 장기공연 중앙일보 2002.02.23
  9. 시대에 도전한 신여성 나혜석의 삶 중앙일보 2007.06.27
  10. '벌거벗고 뛰는 낭자' 조선 역관이 본 이것은? 조선일보 2011.07.09
  11. 11.0 11.1 11.2 11.3 [다시 읽는 여인열전] 남성중심 사회서 희생된 나혜석 조선일보 2002.09.10
  12. 나혜석의 껍데기만 보지 마라 조선일보 2008.02.22
  13. 참고 살면 볕들날 온다? 조선일보 2004.12.27
  14. 내 수첩을 공유합니다 한겨레 2012.02.03
  15. 15.0 15.1 이상경씨 '나혜석 전집', 평전 '나혜석' 발간 한겨레 2000년 01월 31일자
  16. 16.0 16.1 가출신여성 이야기 조선일보 1999.11.25
  17. 17.0 17.1 “엄마는 희생당한 선각자란다” 양성평등 사회 꿈꾼 나혜석 중앙일보 2009.05.08
  18. 30년대 조선을 거닐다 <9> '모던 걸'의 비극적 결혼 조선일보 2005.12.02
  19. 19.0 19.1 [이영아의 여론女論] 모성애는 의무가 아니다 중앙일보 2011.10.13
  20. 나혜석 이혼…여권의식 불당겨 (1931년) 조선일보 1999.04.13
  21. 20. 新여성-욕망이냐 현모양처냐(허동현 교수) 중앙일보 2003.06.26
  22. '불꽃의 여자 나혜석' 장기공연 중앙일보 2002.02.25
  2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조선 사람의 세계여행》 (글항아리 펴냄, 2011) pp.318
  24. 24.0 24.1 "정조는 도덕도 법률도 아니요, 오직 취미"
  25. [인문사회]‘꽃을 잡고’… 기생, 시대를 앞서간 슬픈 영혼 동아일보 2005.06.04
  26. 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 外 중앙일보 2008.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