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한민국(大韓民國)은 동아시아 한반도 남단에 1945년부터 현재까지 자리한 민주공화국이다. 북쪽으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접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북한'(北韓)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듯이 '남한'(南韓) 이라는 다른 이름도 존재한다.
'대한'의 유래에 관한 구체적인 어록은 다음과 같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대한'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 결정은 임시정부 수립 과정에서 정해진 것이라 알려져 있다.
- 대한은 이미 우리가 쓰고 있던 국호로서 그 대한 때에 우리는 망(亡)했다. 일본에게 합병되어 버린 대한의 국호를 우리가 지금 그대로 부른다는 것은 감정상(感情上)으로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 《夢陽 呂運亨》, 여운홍, 41p(1967년)
- 임시정부 수립 과정에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하자는 주장에 당시 회의에 참여했던 여운홍이 국호로 조선공화국을 지지하는 이들이 내세웠던 근거를 회상하여 책에 기록함.
- "일본에게 빼앗긴 국호이니 일본으로부터 다시 찾아 독립했다는 의의(意義)를 살려야 하고 또 중국이 혁명 후에 새롭고 혁신적(革新的)인 뜻으로 '민국'을 쓰고 있으나 이를 따라 대한민국의… (국호를 정한 것이라곤 할 수 없다)" 결국 다수의 주장을 따라 이미 말한대로 이런 국호가 채택되었다.
- 《夢陽 呂運亨》, 여운홍, 41p(1967년)
- 대한민국을 국호로 주장했던 신석우의 논거를 여운홍이 회상하여 책에 기록함.
긍정적 어록[편집]
- 제가 대한민국에서 좋아하는 것들 중 하나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아주 친절하고, 다른 사람들을 많이 도와줍니다.
- 영어: My favorite thing about South Korea is the people. they are so kind and helpful.[1]
-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봅슬레이 선수 엘라나 마이어스
중립적 어록[편집]
- ─ 대한민국 헌법 제 1장 1조 1항과 2항
- ─ 대한민국 헌법 제 1장 1조 3항
- 이제 나와 내 가족, 내 이웃이 지켜낸 대한민국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내 조국’, ‘우리 모두의 나라’가 되었습니다. 평화는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이며, 두 번 다시 전쟁이 없는 평화의 한반도를 만드는 것은 국민이 부여한 국가의 책무입니다.
대한민국과 관련된 어록[편집]
각주[편집]
- ↑ On the Clock with Elena Meyers Taylor
- ↑ 2.0 2.1 대한민국헌법 국가법령정보센터
- ↑ 문재인의 평화 어록 (남북정상회담 공식 사이트)